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기계적 특성과 이온 전도도와의 관계 평가 (분체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)
요약
최근 뛰어난 안전성,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관점에서 차세대 배터리로 전고체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
그 중에서도 고성형성, 고이온 전도성을 보이는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그러나 압분 과정이나 압분 후의 압력 특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.
본 어플리케이션 노트에서는 분체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고체 전해질의 기계적 특성과 이온 전도도의 관계를 평가한 측정 사례를 소개합니다.
측정 대상물
■ Li6PS5Cl 알디로다이트
■ 제조사 및 입자 크기 차이: A사 1 µm, B사 8 µm

측정 조건
■ 무게: 200 mg
■ 압력 조건*: 1 MPa~764 MPa(임의의 간격으로 11점)
■ 대기 시간: 60 s
■ 측정 주파수: 4 Hz~5 MHz
■ 신호 레벨: CV 0.1 V
■ 전극 직경: φ10 mm
*두께 측정은 압력 조건 127 MPa 이하에서는 사양 외므로 참고용 값입니다.

측정 결과
나이키스트 플롯 비교 (일부를 발췌 표시)

나이키스트 플롯의 원호와 X축의 교차점(전체 저항 R)을 통해 제조사별(입자 크기 차이)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. B사 소재가 전체 저항이 더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이온 전도도 및 압밀 특성을 동시에 평가
나이키스트 플롯에서 구한 전체 저항 R을 이용하여 그래프로 표현했습니다.

■ B사 소재는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고 있으며, 높은 프레스압 영역에서는 이온 전도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■ 이번 동종 비교에서 B사 소재는 겉보밀도가 높기 때문에 압밀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이와 같이 재료의 입자 크기나 조성이 다른 재료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.
정리
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기계적 특성과 이온 전도도의 관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.
황화물계 전고체 전지 연구에 큰 가치를 제공하는 분체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을 경험해 보십시오.
자세한 내용은 제품 페이지 및 관련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또한, 제품 데모 요청이나 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담은 문의 페이지를 통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